[웹 개발 환경 구축] VMware Fusion Intel칩 Mac에서 구축하기 (디스크 이미지 오류 / 공유 폴더 파일 오류 / 웹 접속 업데이트 오류)
이번에 웹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았다.
리눅스로 진행해서 VMware로 우분투를 다운받았는데,
Intel Mac을 갖고 있어서 VirtualBox로 Desktop 우분투를 사용했다가
VMware로 서버우분투(라고 표현하는 게 맞나)를 새로 다운받기로 했다.
~ 구축하다 겪은 오류와 해결 모음 ~
0. 우선 처음부터 막힐 경우에...
요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에서
손쉬운 사용에서 VMware Fusion 을 허용 해주고 진행해야 한다.
1. 디스크 이미지 무한로딩
요 부분에서 저렇게 잘 들어가고 계속 버튼이 눌려야되는데
무한 로딩되고 계속 버튼 선택이 안됐다!
그래서 다른 디스크 이미지를 일단 넣어서 넘어간 다음에
여기서 저 스패너를 누르면
이렇게 나오는데 여기서 CD/DVD에서 디스크 이미지를 선택해줬다
그런데도 안돼서 CD/DVD가 세 개나 생긴거임 ㅎㅎ
아까 저 스패너 옆에 이 CD/DVD 부분이 추가된 걸 볼 수 있는데
여기서 Choose Disc or Disc Image... 를 눌러서 설정해주면 된다
나머지 잘못 추가된 CD/DVD는 꺼줘야 함
그리고 이미지 넣을 때 아직 켜져있어서 못 넣는다는 게 나오는데
그땐 그냥 빨간 닫기로 종료하는 것보다
여기서 Shut Down 해주는 게 확실히 돼서... 됐던 듯...
디스크 이미지 관련 다른 오류는 이 글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blog.naver.com/kijoon0705/222080742478
[맥북] VMware 설치 및 우분투 설치(오류코드: 파이프 연결 해제됨.)
고.군.분.투. 고분투하기 리눅스는 크게 레드햇계열/데비안계열/기타/유닉스 등등 여러 리눅스가 있다. 우...
blog.naver.com
VMware Fusion 맥 다운 검색하면 다 m1, m2에 설치하는 것 밖에 없던데
내 오류가 m1칩 기준의 다운로드 방식을 그대로 따라해서 저리 됐던 것일지...도?
2. 공유 폴더 파일 안 보임
아까 스패너 눌렀을 떄 나오는 세팅에서
이 녀석을 누르면
내가 추가한 lim_web이라는 파일이 있다
그런데? 우분투 터미널에서는 파일 안을 확인하면 ( ll 명령어)
안나온다!
그럴경우 해결법~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vm-tools
$sudo apt install open-vm-tools-desktop
우선 이 명령어로 얘네를 설치해 줌
그런데도 안뜬다?
그러면
생각보다 어이없는 해결법
저 Enable Shared Folders 버튼을 해제하고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서 클릭 해주고
다시 명령어를 사용해서 확인하면
그 전에 안 보였던 저 폴더가 ll 명령어 입력시 잘 뜬다.
이 블로그 글이 참고가 되었다.
https://mingyum119.tistory.com/101
VMware ubuntu 공유 폴더 생성, 접속 허용하기
친구가 VMware ubuntu 공유 폴더를 생성하는 것을 도와달라고 해서 1년 전에 설치했던 VMware를 켜보았다 .. 😶 ubuntu 20.04 LTS 버전, 로컬 PC는 Windows 11 공유 폴더로 윈도우와 우분투 간의 파일을 공유할
mingyum119.tistory.com
3. ip:Host 웹에서 접속시 업데이트 안되는 경우
이렇게 ip주소:Host넘버 로 접속했을 때
파일 업데이트 안하면 이 Default Page가 뜬다
그런데!
이렇게 파일을 업데이트 해서
다시 저 페이지에 들어가면
얘네가 적용된 페이지가 보여야 하는데
여전히 저 디폴트 페이지였다
위 사진에서 Host가 5011이지만 5012로 들어갔어도 똑같이 나왔다.
그래서 해결법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이렇게 들어가성
<VirtualHost *:5012>
# The ServerName directive sets the request scheme, hostname and port that
# the server uses to identify itself. This is used when creating
# redirection URLs. In the context of virtual hosts, the ServerName
# specifies what hostname must appear in the request's Host: header to
# match this virtual host. For the default virtual host (this file) this
# value is not decisive as it is used as a last resort host regardless.
# However, you must set it for any further virtual host explicitly.
#ServerName www.example.com
ServerAdmin <메일 주소>
DocumentRoot /server_app/board.com
# Available loglevels: trace8, ..., trace1, debug, info, notice, warn,
# error, crit, alert, emerg.
#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loglevel for particular
# modules, e.g.
#LogLevel info ssl:warn
ErrorLog ${APACHE_LOG_DIR}/board.com/error.log
CustomLog ${APACHE_LOG_DIR}/board.com/access.log combined
# For most configuration files from conf-available/, which are
# enabled or disabled at a global level, it is possible to
# include a line for only one particular virtual host. For example the
# following line enables the CGI configuration for this host only
# after it has been globally disabled with "a2disconf".
#Include conf-available/serve-cgi-bin.conf
<Directory /server_app/board.com>
Options All
AllowOverride All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VirtualHost>
여기서 <메일 주소> 에 본인 메일 써주고
board.com을 내 파일 이름(나의 경우 lim_web) 으로 다 바꿔서
붙여넣기 한다음에
저장 후 나가주면
잘 업데이트 된 걸 볼 수 있다
넘어가는 단계마다 각 명령어를 꼼꼼하게 캡쳐해놨으면 좋았을 텐데
더 자세하게 기록을 못한 게 조금 아쉽지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