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age Service, SAN / NAS
스토리지 타입
- 블록 스토리지
- 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저장
- Storage Area Network(SAN)
- 파일 스토리지
- 서류철에 서류를 정리하듯, 데이터가 폴더 안에 단일 정보로 저장
- Network Attached Storage(NAS)
- 오브젝트 스토리지
SAN / NAS
- SAN과 NAS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유 스토리지 솔루션의 두 가지 유형
- SAN : 여러 기기로 이루어진 로컬 네트워크
- NAS : LAN(Local Area Network)에 연결되는 단일 스토리지 디바이스
DAS(Direct Attached Storage)
전통적인 스토리지 시스템 구성 방식이다
스토리지 시스템을 서버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컴퓨터)를 이용해야만 스토리지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음
장점
오랜 시간 입증된 기술이며 소규모 구현과 관리가 용이하고 소규모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성할 때 비용이 경제적
단점
호스트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저장 장치의 접근이 제한
스토리지 시스템이 단일 서버에 속해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공유가 어렵고 여러 서버로 구성된 분산 환경에서는 관리가 어려움
남은 공간을 공유할 수 없음
Storage Area Network(SAN)
-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킹 , 스토리지 디바이스 네트워크
- 여러 스토리지들을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시킨 다음 이 네트워크를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방식
- 대규모 네트워크 사용자를 위해 저장장치를 데이터 서버와 연결하여 별도의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고속 네트워크 시스템
- 스토리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호스트들은 모두 SAN 전용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근해야 함
- 별도의 *SAN 전용 스위치 를 필요로 함
( * SAN 스위치는 서버를 스토리지 디바이스의 공유 풀과 연결하는 하드웨어, SAN에서 스토리지 트래픽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사용 )
- 일반적으로 광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SAN의 표준으로 봄
장점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시스템대용량의 데이터를 연결된 서버에 상관없이 원거리에 분산된 저장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주고받을 수 있음확장성 및 유연성, 편리성 뛰어남
단점
초기 구축시 많은 비용 투자해야함
주 용도
볼륨을 공유하는 목적으로 블록 형태의 I/O가 필요한 업무, DB같은 구조화된 워크로드, 고용량 및 고성능이 요구되는 업무에 사용
Network Attached Storage(NAS)
- 네트워크로 통신하여 저장장치에 연결, 이더넷을 통해 파일을 제공하는 단일 스토리지 장치
- TCP/IP와 같은 표준 네트워크로 Network Switch와 연결하여 사용
-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스토리지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방식
- NAS 장치는 다양한 위치에 있는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쉽게 액세스
- NAS 는 공유 스토리지를 네트워크 마운트 볼륨 으로 제공하고 NFS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
장점
여러 다른 장치들의 데이터 저장/읽기에 용이
전용 OS를 사용하여 DAS 방식 대비 I/O 속도가 더 높음
스케일 아웃 방식의 NAS는 클러스터 구성이 가능
단점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하므로 대역폭(전송 속도)에 제한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에 취약
주 용도
파일 공유, 동시 접속이 필요한 업무(웹하드 등), 비정형 데이터 사용에 적합, 다수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공유를 위해 사용
통합 스토리지(unified storage), 또는 멀티프로토콜 스토리지
- SAN과 NAS를 두 개의 개별 스토리지 플랫폼으로 구매하는 방식에서 탈피하려는 시도
- 하나의 시스템이 파이버 채널과 iSCSI 블록 스토리지, 그리고 NFS, SMB와 같은 파일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
https://www.dknyou.com/blog/?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123731&t=board
https://sunrise-min.tistory.com/entry/NAS와-SAN-Storage의-차이
https://tech.gluesys.com/blog/2019/12/02/storage_1_intro.html